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사띠의 분노조절 메커니즘=The Anger Control Mechanism of Sati
作者 박정아 (著)=Park, Jung-a (au.) ; 임승택 (著)=Lim, Seung-taek (au.)
出處題名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卷期v.70
出版日期2022.03
頁次81 - 107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者網址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박정아: 경북대학교 철학과 석사과정
임승택(교신저자): 경북대학교 철학과 교수
關鍵詞갈등=Conflict; 분노= Anger; 사띠= Sati; 니까야= Nikāya; 인식; 잠재성향; 『화살경』; Salla sutta; Saññā; Paṭighānusaya
摘要현대 정신의학에서는 역기능적 분노 표현이 인지 작용의 결과이며, 관리가 힘든 정서로 분류한다. 불교에서는 분노를 주요 번뇌로 취급하고, 수행자가 사띠(sati)로 분노를 조절할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분노의 과정에 사띠가 언제 어떻게 개입될 수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빨리(Palī) 문헌 및 관련 연구를 토대로 분노의 발생 과정을 고찰한다. 그리고 분노의 조절 과정에 대한 논의는 『맛지마 니까야(Majjhima Nikāya)』의 「화살 경(Salla sutta)」을 근거로 한다. 분노는 상응하는 조건이 있을 때,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첫 번째 화살이다. 그러나 이미 일어난 분노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한다면, 두 번째 화살을 맞게 된다. 두 번째 화살은 분노가 아닌 이미 분노에 대한 생각이 주인공이다. 이와 같은 생각에 휘둘리고 함몰되는 것은 분노의 싹을 틔우는 기름진 토양을 만드는 것이다. 분노의 첫 화살은 피할 수 없다. 그러나 사띠는 분노에 대한 인식을 통제함으로써 이미 일어난 분노 그 자체를 있는 그대로 경험하게 하고, 인식의 불건전한 흐름을 막는다. 설령 이러한 불건전한 흐름을 막지 못하고 두 번째 화살을 맞게 되더라도, 인내심을 발휘한 사띠는 분노에 대한 생각들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고, 분노의 씨앗을 뿌리지 않게 한다. 이러한 결과는 이미 일어난 감정 그 자체가 주체일 때, 단지 그것의 힘이 저절로 약해지도록 둘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감정에 대항하는 생각이 주체가 되도록 하여, 그것에 휩쓸릴 것인가를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사띠는 분노를 인식해 나가는 과정 동안 개입된다면, 조절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분노의 불같은 특성을 고려한다면, 현대인이 이를 실천한다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이들이 실천 가능한 방식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분노라는 강렬한 감정을 사띠로 조절 가능한가에 대한 도전적 탐구를 남방불교 문헌을 통해 시도하고,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In modern psychiatry,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is viewed as the result of cognitive function and is classified as an emotion that is difficult to control. In Buddhism, anger is treated as a basic defilement, and it is believed that a meditative practitioner can control anger by sati. This paper examines when and how sati can be involved in the process of anger.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anger generation is considered based on the Pali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The process of controlling anger is discussed based on the Salla sutta in the Majjhima Nikāya. Anger is the first arrow that occurs naturally when there are corresponding conditions. However, if one does not properly deal with the anger that has already occurred, one will be hit with a second arrow. The second arrow is not anger; instead, its main characteristic is the thought of anger. To be swayed and depressed by such ideas is to create a fertile soil that sprouts anger. The first arrow of anger is inevitable. However, by controlling the perception of anger, sati allows anger itself to be experienced as it is and prevents an unwholesome flow of perception. Even if one fails to stop this unwholesome flow and is hit by a second arrow, the patient application of sati weakens the influence of thoughts about anger and prevents the seeds of anger from being sown. Thus, when an emotion that has already occurred is itself the subject, a question arises: will one just let its power weaken itself, or will one’s thoughts against the emotion become the subject and be swept away by it? According to this study, sati seems to be able to control anger if it is involved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ger. However, considering the fiery nature of anger, it does not seem easy for modern people to practice sati towards anger.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ways that modern people can engage in this practi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a challenging exploration of whether the intense emotion of anger can be controlled by sati according to the Pali literature and confirmed this possibility.
目次I. 서론 82
II. 분노의 발생과 특성 87
III. 사띠의 기능 92
IV. 사띠를 통한 분노의 조절 95
V. 마무리 100
ISSN15980642 (P)
點閱次數21
建檔日期2023.08.26
更新日期2023.08.26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0705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