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구사론 파아품에 나타나는 무아(無我, anattan)의 변용 I - 5가지 사례를 통한 니까야의 무아 유형과 비교=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Selflessness (Anattan) in the Ātmavādapratiṣedha of Abhidharmakośabhāṣya I - A Comparison with Anattan in the Nikāyas, Focusing on Five Cases
作者 임승택 (著)=Lim, Seung-taek (au.)
出處題名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卷期v.71
出版日期2022.06
頁次31 - 64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者網址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경북대학교 철학과 교수
關鍵詞자아; 무아; 파아품; 상속; 무아성; 법성; dharmatā; nirātmatā; santāna; Ātmavādapratiṣedha; anattan; attan
摘要본 논문은 구사론 파아품에 나타나는 무아 해석을 니까야에 나타나는 초기불교의 무아 유형들과 비교한 것이다. 파아품의 무아 해석은 초기불교 이후 새롭게 등장한 무아 관련 논의를 반영하는 것으로 다음의 5가지 경향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 : 초기불교 무아설의 주류적 가르침에 합치하는 경우, : 주류적 가르침에 연결되지만 새로운 관점과 설명방식을 도입하는 경우, : 초기불교 무아설의 이질적 경향에 합치하는 경우, : 이질적 경향에 연결되면서 새로운 관점과 설명방식을 도입한 경우, : 초기불교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경우 등이다. 필자는 파아품 전체를 43개의 단락으로 나누고서, 그 중 대표성을 지닌 5개의 단락을 선별하여 이상의 5가지 경우에 배대해 보았다. 도입부의 단락 1)은 초기불교 무아 서술의 주류적 경향에 연결시켜볼 수 있지만 새로운 관점과 설명방식을 도입한 경우로서 에 해당한다. 단락 43)의 맺음게송은 새로운 무아관을 제시하는 경우로서 으로 귀속시킬 수 있다. 단락 10)은 ‘유정(satta)’이라는 존재를 수레 부품의 조합에 비유한 것으로 으로, 단락 40)은 인과적 관계를 벗어난 독존적 주체는 인정될 수 없다는 것으로 으로, 단락 27)은 초기불교 무아의 주류적 경향을 그대로 잇는 경우로서 으로 갈래지을 수 있다. 이상의 분류를 통해 파아품의 무아관은 일관된 관점을 견지하지 못하며, 초기불교의 가르침을 답습한다기보다는 새로운 관점을 도입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고 것을 알 수 있다. 바로 이것이 붓다에 대한 왜곡인지 혹은 창조적 계승을 의미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더욱 많은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본 논문은 그 부분을 밝히려는 일련의 후속 연구에 대해 시론적(試論的) 성격을 띤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compares the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anattan) in the Ātmavādapratiṣedha of Abhidharmakośabhāṣya with the types of selflessness teachings in Early Buddhism. The interpretation of selflessness in the Ātmavādapratiṣedha reflects the discussions that newly emerged after Early Buddhism, and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ive cases. Type A: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mainstream trends of Early Buddhism; Type B: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that could be connected to the mainstream trends of Early Buddhism but introduce new perspectives and explanatory methods; Type C: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that are connected to heterogeneous trends in Early Buddhism; Type D: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that could be connected to heterogeneous trends in Early Buddhism but introduce new perspectives and explanatory methods; and Type E: new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that cannot be found in Early Buddhist teachings. I divided the entire Ātmavādapratiṣedha into 43 sections, selected five representative sections, and arranged them into the above-mentioned five types. The first section (1) of the introduction and the last section (43) of the concluding part represent the interpretation of selflessness in the Ātmavādapratiṣedha. Section 1) is associated with mainstream trends in Early Buddhism, but it may also be attributed to Type B, introducing new perspectives and explanatory methods. Section (43) presents new perspectives that cannot be found in Early Buddhist teachings. Therefore, it can be classified as Type E. In section (10), the existence of person (satta) is compared to a combination of cart parts, and this belongs to Type C. Section (40) corresponds to Type D in that the self or person as an independent subject beyond a causal relationship cannot be recognized. Finally, section (27) exemplifies the inheritance of mainstream trends in Early Buddhist teachings; the content of this section conflicts with that of the four above-mentioned types, and this section can be classified as Type A.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Ātmavādapratiṣedha presents a consistent view of selflessness. It can also be claimed that the Ātmavādapratiṣedha is more concerned with introducing and interpreting new perspectives than with adhering to the standpoint of Early Buddhism. It seems that more discussion is needed as to whether these points are distortions of Buddha’s teachings or whether they reflect creative succession or development. To address these points, it is necessary to expand on the remaining sections that were not covered in this study and on the contexts in which perspectives on selflessness have evolved over the course of the history of Buddhist literature. This paper can be said to be an introductory article for such subsequent research.
目次I. 시작하는 말 32
II. 파아품의 내용 구성과 과단(科段) 35
III. 니까야(Nikāya)와의 비교를 통한 유형별 분류 41
IV. 마치는 말 58
ISSN15980642 (P)
點閱次數34
建檔日期2023.08.26
更新日期2023.08.26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071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