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신라오대산 기록에서 확인되는 上院寺와 月精寺의 分節 양상 검토=A review on the aspects of separation between Sangwonsa and Woljeongsa confirmed in the records of Silla Odaesan
作者 염중섭 (著)=Youm, Jung-seop (au.)
出處題名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Journal of Buddhist Professors in Korea
卷期v.28 n.1
出版日期2022.04
頁次23 - 40
出版者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부디스트 비즈니스학과 박사과정
關鍵詞上院寺= Sangwonsa; 寶川= Bocheon; 孝明= Hyomyeong; 信孝= Sinhyo; 信義= Sinui; 聖德王=King Seongdeok; 文殊菩薩=Mañjuśri bodhi-sattva
摘要신라오대산 안에는 上院寺와 월정사라는 특징적인 두 사찰이 존재한다. 이 중 신앙의 중심에 상원사가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오대산의 전체를 총괄하는 사찰은 월정사가 된다. 이와 같은 이중구조는 일반적인 산사에서 확인되는 측면과는 차이가 있다. 이는 상원사가 먼저 확립된 뒤에 월정사가 갖추어지면서 발전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신라오대산은 慈藏에 의해서 개창되지만, 오대산의 신앙구조를 확립하는 것은 寶川과 孝明이다. 이들은 상원사터에서 문수보살이 36가지로 변신하는 모습과, 오대산의 각 봉우리에서 5만의 보살들이 출현하는 종교체험을 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705년 상원사가 창건되고, 이들에 의해 五臺五萬眞身信仰이 확립한다. 오대산은 보천과 효명 이후 信孝에 의해서 새롭게 산의 입구 쪽에 위치한, 과거 자장이 머물렀던 자리에 사찰이 건립된다. 이것이 발전하는 것이 바로 월정사이다. 즉 오대산은 시원자인 자장 이후 보천과 효명에 의한 상원사를 중심으로 하는 측면과, 신효를 필두로 하는 월정사계가 존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 사찰의 흐름이 후에 오대산이라는 전체 구조 속에서 하나로 통합되면서 발전하게 된다. 즉 오대산은 하나의 통합된 측면에서 시작되어 발전과 더불어 확대를 통해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상원사와 월정사의 분절 구조가 후에 통합되는 방식으로 완성되었던 것이다.

There are two distinctive temples in Silla Odaesan: Sangwonsa(上院寺) and Woljeongsa(月精寺). Although Sangwonsa was the center of the faith, Woljeongsa was the temple that oversaw the entire Odaesan Mountain. This double structure is different from that found in general mountain temples. This is because Sangwonsa Temple was established first and then Woljeongsa Temple was established. Although Shilla Odaesan was founded by Jajang(慈藏), its religious structure was established by Bocheon(寶川) and Hyomyeong(孝明). At the site of Sangwonsa Temple, the two monks had a religious experience in which Mañjuśri bodhi-sattva transformed into 36 kinds of shape, and 50,000 Bodhisattvas appeared on the peaks of Mt. Odae. In this way, Sangwonsa Temple was founded in 705, and the Odaesan Manjinbul faith(五臺五萬眞身信仰) was established by the two. After Bocheon and Hyomyeong, Sinhyo(信孝) established a new temple at the entrance of Mt. Odae, where Jajang had once stayed. This temple developed to Woljeongsa later. In other words, the Odaesan has an aspect centered on Sangwonsa by Bocheon and Hyomyeong after Jajang, the originator, and the other aspect on Woljeongsa, which was led by Sinhyo. These two flows of temple were later integrated into one in the overall structure of Mt. Odae. Therefore, even if the Mt. Odae started from one origin were developed in a different way, the segmental structures of Sangwonsa Temple and Woljeongsa Temple were integrated and completed later rather than being separated away through expansion and development.
目次I. 서론 25

II. 오대산 문헌의 구조와 특징 검토 26
1. 오대산 문헌의 구성과 방식 26
2. 寶川·孝明과 信孝·信義·有緣의 분절 29
III. 상원사와 월정사의 개창과 오대산 31
1. 五臺五萬眞身 및 상원사 중심기록 31
2. 월정사 중심기록과 계승자 문제 35
IV. 결론 37
ISSN20926553 (P)
DOI10.34281/kabp.28.1.2
點閱次數34
建檔日期2023.08.28
更新日期2023.08.28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0861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