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승만경』 주석서에 나타난 범어 해석의 한 특징 - 「여래진실공덕장」의 음사어 해석을 중심으로=The Chinese Understanding of Sanskrit Terms – A Special Reference to the Commentaries of the Śrīmālādevīsūtra
作者 이상민 (著)=Lee, Sang-min (au.)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106 n.0
出版日期2023.05.31
頁次69 - 98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關鍵詞승만경=Śrīmālādevīsiṃhanādasūtra; 동아시아 불교=Chinese Buddhism; 한문 주석서=Chinese commentaries; 전제라=旃提羅=Candirā; 아유도=阿踰闍=Ayodhyā; 이염=爾焰= jñeya; 경학=經學=the study of the Confucian classics
摘要본고는 『승만경』에 나타난 음사어인 “전제라(旃提羅)”, “아유도(阿踰闍)”, “이염(爾焰)”이 여러 한문 주석서에서 어떻게 이해되었는지를 추적하고, 이를통해 동아시아 불교의 범어 이해에 대한 특징을 고찰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세 용어의 원어를 한역의 음가와 티벳역의 의미를 기반으로 추정해보면, 각각 Candirā(‘달과 같은’-개인 이름), Ayodhyā(‘무너뜨릴 수 없는’), jñ -eya(‘알려지는 것’)가 된다. 그런데 한문 주석서에서는 이들이 각각 “석녀(⽯⼥)”, “불생(不⽣/無⽣)”, “지모(智母)”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해석들은 어원학적 고찰이라기보다는 동시대에 유통되었던 한역경전들과의 교감학적 고찰에 가까웠다. 2) 일단 특정 형태로 규정된 용어들은 다소간의 해석적 변천을 겪는다 해도 한번 정해진 형태에서 크게 변화되지 않은 채로 후대 주석서에까지 전해진다. 이러한 형태의 유지는 각 주석가들이 가지고 있는 인도 불교에 대한직접적인 지식 유무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3) 한문 주석서에 나타난 양상은 인도불교보다 오히려 유교의 경학(經學)이가지고 있었던 문제의식이나 태도와 유사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동아시아 불교의 사상적 전개가 지니는 의의는 인도불교의 관점이 아니라 한자문화권의지성사적 관점에서 이해할 때 보다 명확히 드러날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interpretation of Sanskrit terms in Chinese commentaries of the Śrīmālādevīsūtra. Specifically, it focuses on three transliterated terms: "旃提羅," "阿踰闍," and "爾焰." The study reveals the following findings: The original Sanskrit words corresponding to these terms can be inferred as Candirā (meaning "moon-like," a personal name), Ayodhyā (meaning "invincible"), and jñeya (meaning "known" or "object"), respectively. However, in the Chinese commentaries, they were interpreted as "a sterile woman (⽯⼥)," "non-birth/arising (不⽣/無⽣)," and "mother of wisdom (智母)" respectively, deviating from their original meanings. Rather than being purely etymological inquiries, these interpretations were closer to hermeneutical engagements with the Chinese translations of Buddhist scriptures that were in circulation during the same period. The primary consideration in these interpretations lies in maintaining consistency with the East Asian Buddhist scriptures contemporaneously used. Once a specific form of terminology was established, it remained relatively unchanged and was passed down to subsequent commentaries. The preservation of these forms i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direct knowledge of Indian Buddhism possessed by individual commentators. The patterns observed in Chinese commentaries exhibit more similarities with the issues and attitudes found in Confucian classics rather than Indian Buddhism. Consequently, understanding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of East Asian Buddhism becomes clearer with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East Asian sphere, rather than solely from the perspective of Indian Buddhism.
目次I. 들어가며 71

II. “전제라(旃提羅)”와 “아유도(阿踰闍)” 73

III. “이염(爾焰)”과 “지모(智母)” 84

IV. 범어 해석의 경향성과 동아시아 경학(經學) 89
V. 결론 93
ISSN12250945 (P)
點閱次數131
建檔日期2023.08.31
更新日期2023.08.3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1056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