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불교철학에 있어 학파적 복합성과 독단성(1) - 世親의 唯識二十論에서의 외계대상 비판의 경우=An Investigation into Vasubandhu's Criticism of An External Object in Viṃśatikā
作者 권오민 (著)=Kwon, Oh-min (au.)
出處題名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卷期n.28
出版日期2010
頁次139 - 170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者網址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경상대학교 철학과 교수.
關鍵詞世親= vasubandhu; 衆賢(新薩婆多); 上座 슈리라타(經量部); 극미설; 和集과 和合; 외계대상; saMghabhadra(neo-sarvAstivAda); congregation without a gap(和集); zrIlAta(sautrAntika); paramANu; inseparable congregation(和合); external object; paramANu
摘要世親은 그의 유식이십론 제10-13송에서 외계대상이 다수의 극미의 결합이라고 주장하는 경우, 부분적으로 결합한 것이라면 극미는 부분을 갖는 것이 되고, 전체적으로 결합한 것이라면 聚色은 하나의 극미 크기가 되어야 하며, 만약 극미는 無方分으로 결합하는 일이 없다면 취색 또한 그러하다고 해야 하고, 有方分이라면 극미라고 할 수 없다는 논리적 딜레마로써 외계대상을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딜레마는 이미 대비바사론에서 검토된 것이었다. 이에 따라 衆賢은 우리가 지각하는 외계대상은 ‘무방분의 제 극미가 無間으로 근접하여 생겨난 것’으로 규정하여 이를 ‘和集’이라 하였고, 上座 슈리라타(Śrīlāta)는 ‘극미 자체가 방분이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결합(접촉)한 것’으로 규정하여 이를 ‘和合’이라 하였다. 따라서 세친의 비판은 유식설을 드러내기 위한 전제로서는 의미 있을지언정 비판 자체로서는 무의미하다. 『대비바사론』에서의 극미설이나 중현과 상좌의 논의가 고려되지 않는 한 세친의 비판은 그 자신의 것이라고 할 수밖에 없지만, 그럴 경우 불교철학은 교조적 독단성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아울러 대비바사론에서의 극미설을 비롯한 화집과 화합에 대한 유가행파의 비판은 陳那의 觀所緣緣論 제1-5송에서 인식대상의 문제(所緣性)와 관련하여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 역시 그러한데, 이에 대해서는 본고의 속편에서 다루게 될 것이다.

In case that an external object was the congregation of paramāṇus(atoms), Vasubandhu criticized an external object with the logical dilemma in Viṃśatikā v.10-13, that if it is their partial congregation, they have parts, but that if it is their general congregation, congregated matter should amount to one paramāṇu in size, and that one should say that if they do not congregate with others because they do not have any parts, congregated matter does not have either, and that if they have parts, they cannot be said to be paramāṇu. Such dilemma, however, had already been examined in Mahāvibhāṣaśāstra. According to it, Saṃghabhadra provided that the external object perceived by us was 'the produced as it is in the absolute approach of paramāṇus without any gap' and called it 'congregation without a gap(和集)'. Sthavira Śrīlāta provided that 'a paramāṇu itself actually congregation with others because it is a part in itself' and called it 'inseparable congregation(和合)'. Thus, Vasubandhu's criticism may be significant as a presupposition for revealing the theory of Vijñaptimātratā, but is insignificant as criticism itself. As far as the theory of paramāṇu in Mahāvibhāṣaśāstra or Saṃghabhadra's and Sthavira's arguments are not considered, it is inevitably said to be his. In that case, Buddhist philosophy will not be able to evade dogmatism. Together with it, the criticism of the Yogācāra school on congregation without a gap and inseparable congregation of paramāṇus is made in connection with the object of cognition(ālambana) in Dignāga's Ālambanaparīkṣa v.2-5. It is also so. It will be dealt with in a sequel.
目次I. 세친의 외계대상 비판. 140
II극미의 和集과 和合. 145
III세친의 극미설 비판 검토. 161
ISSN12263230 (P)
DOIhttp://doi.org/10.32761/kjip.2010..28.006
點閱次數21
建檔日期2023.09.30
更新日期2023.09.30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3121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