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범・장・돈황본 아미타경 대조 연구=A Comparative Study of the Sanskrit, Tibetan and Dunhuang Versions of Sukhāvatī-Vyūha
作者 崔鍾男 (著)=Choi, Jong-nam (au.)
出處題名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卷期n.29
出版日期2010
頁次33 - 66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者網址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역경학과 교수
關鍵詞아미타경; 돈황 필사본=Dunhuang’s manuscript; 스타인; 이체자; 성훈학= Abbreviation; 음사표기=Phonetically translated notation; 구마라집= Kumārajīva; 현장= Xuanzang; Sukhāvatī-Vyūha
摘要본 논문에서는 돈황에서 필사된 아미타경 중에서 돈황보장에 수록되어 있는 구마라집 번역본 11점, 현장 번역본 2점을 중심으로 돈황 필사본 아미타경들을 사상적, 자형학적, 聲訓學的, 그리고 대장경류들을 시대별로 규명하기 위하여 대조・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아미타경 돈황 필사본들을 산스크리트어 원전, 티베트어 번역본, 방산석경, 적사대장경, 고려대장경, 대정신수대장경들과 각각 서로 대조하였다. 이들의 언어별, 대장경별 대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오류 및 상이점 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①단어, 혹은 문장의 생략, ②단어를 바꾸어 필사한 경우, ③문장의 내용이 다른 경우, ④단락의 순서를 바꾸어 필사한 경우, ⑤이체자, ⑥음사표기가 다른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은 대조・고찰에 의하면 아미타경 돈황 필사본들은 신앙과 기원을 위하여 필사한 것들로서 적사대작경 開版 이전의 唐 시대 후기부터 宋 시대 초기에 대부분 필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음사문자의 음가는 中古音으로서 송대 이전의 음으로 포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추후 현존하는 수백 점의 돈황 필사본들 또한 언어별・대장경별로 대조・연구하면 역경사적, 자형학적 및 성훈학적 등의 연구와 대장경류들의 시대별 변화 지도를 규명하는 데에도 큰 발전이 있으리라고 본다.

This study aimed to carry-out a period-by-period investigation of the different types of Tripitakas with respect to ideologies, forms and the teachings of wise men, based on 11 translated versions of the Kumārajīva and 2 translated versions of the Xuanzang contained in Dun-Huang-Bao-Zang from the Sukhāvatī-Vyūha. In order to do so, manuscripts of the Sukhāvatī-Vyūha's Dunhuang were compared to the original Sanskrit text, the Tibetan translation, the Fang-Shan Shi-Jing, the Tripitaka of Jisha, the Tripitaka Koreana and the Taisho Shinshu Daizokyo. Their comparisons according to language and Tripitaka showed the following errors, misprints and differences: ①Omission of words and sentences, ②Transcriptions of different words, ③Different meanings of sentences, ④Changed paragraph orders, ⑤Abbreviations and ⑥Phonetically translated notations. According to such comparisons and investigations, the manuscripts of the Sukhāvatī-Vyūha's Dunhuang were written for purposes of religion and origins, most of which were transcribed between the end of the Tang era before the reorganization of the Tripitaka of Jisha and the beginning of the Song era. Also, the phonetic values of the phonetically translated notations are mid to pitched tones, which demonstrates that they were transcribed before the Song era. As aforementioned, this study centers on the complete works of Sukhāvatī-Vyūha contained in the Dun-Huang-Bao-Zang - 11 translated versions of the Kumārajīva and 2 translated versions of the Xuanzang. Hundreds of other translated versions of Kumārajīva exist. Comparative studies of these existing manuscripts according to language and Tripitaka, with respect to ideologies, forms and the teachings of wise men, will help greatly towards determining the period-by-period changes in the Tripitakas.
目次I 들어가는 말. 34
II 범・장・돈황본 아미타경 대조 고찰. 40
III 맺는 말. 60
ISSN12263230 (P)
DOIhttp://doi.org/10.32761/kjip.2010..29.002
點閱次數55
建檔日期2023.09.30
更新日期2023.09.30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3125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