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돈오점수(頓悟漸修)와 초기불교의 수행=On Early Buddhist Practice from the viewpoint of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作者 임승택 (著)=Lim, Seung Taek (au.)
出處題名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卷期n.31
出版日期2011
頁次85 - 114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者網址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경북대학교 철학과 교수
關鍵詞돈오점수=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초기불교=Early Buddhism; 한국불교= Korean Buddhism; 위빠사나=vipassanA; 팔정도; 사성제; cattAri-ariyasaccAni; aTThaGgika-magga
摘要지눌의 돈오는 해오로서 이지적인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히 문자적 이해에서 그치지 않으며 본성에 대한 깨달음 자체를 의미한다. 그러한 돈오란 사실상 증오와 동일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지만 개인적인 성향과 습기가 남아있는 한에서 증오와 구분될 뿐이다. 지눌에게서 돈오와 점수는 논리적으로는 선후의 관계에 놓이지만 시간적으로는 동시적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돈오 이후에 별개의 점수를 닦는 것이 아니라, 돈오 자체로써 곧바로 새로운 차원의 닦음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본고의 논지는 바른 견해 혹은 바른 깨달음이 전제될 때 비로소 참된 닦음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고는 이것의 전형을 지눌의 돈오점수에서 찾았고, 또한 초기불교의 팔정도와 사성제 등에도 이것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조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불교와 초기불교 수행론 사이의 소통에 기여하는 측면이 있을 것이며, 또한 각자의 교리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에서도 나름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article is a study in which Early Buddhist practice is compared with Chinul's(知訥, 1158-1210)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The representative thoughts of Chinul's practice system can be compressed into the system of three way(三門) and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The former was the subject of my previous article, Chinul's Practice System from a Perspective of Vipa-ssanā Meditation. And I am focusing on the latter in the present article. I understand the teaching of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as a message that we should realize enlightenment or wisdom first, and then gradually practice the cultivation of mind corresponding with that enlightenment or wisdom. I find out this idea is rooted in the Early Buddhism. Aṭṭhaṅgika-magga of Early Buddhism teach us that right wisdom or enlightenment should precede all the other elements of aṭṭhaṅgika-magga. And I came to understand that the teaching of cattāri-ariyasaccāni also had a similar pattern to aṭṭhaṅgika-magga. The first element of cattāri-ariyasaccāni, dukkha-ariyasacca means to realize the painful realities of life. The other elements of cattāri-ariyasaccāni follow this realiza-tion. Especially, the last element of cattāri-ariyasaccāni, dukkhanirodhagāminiyā-paṭipadā means to practice the gradual cultivation of min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elements of cattāri-ariyasaccāni. I think these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thought of Chinul's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I expect the present article will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the similaritie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Early Buddhism and the traditional Korean Buddhism.
目次I 시작하는 말. 85
II 돈오점수의 의미. 88
III 팔정도의 구조. 94
IV 돈오점수와 초기불교. 102
V 마치는 말. 109
ISSN12263230 (P)
點閱次數26
建檔日期2023.09.30
更新日期2023.09.30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3145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