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낙(樂) 등’의 심리현상에 대한 불교인식론의 논증 (Ⅰ) - 『量評釋』의 정리·승론학파 견해 검증을 중심으로=A Buddhist demonstration on pleasure etc. as psychological phenomena : from Dharmakīrti’s epistemological examination to Nyāya-Vaiśeṣika’s pleasure
作者 박기열 (著)=Park, Ki-Yeal (au.)
出處題名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卷期n.43
出版日期2015
頁次35 - 66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者網址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외래강사
關鍵詞즐거움= pleasure; 낙 등; 고통= pain; 감수 작용; 인식 작용; 다르마키르티; 양평석; 니야야; 바이셰시카; Vaisesika; Nyaya; Pramanavarttika; cognition Dharmakirti; feeling; duhkha; sukha
摘要다르마키르티는 『프라마나바르티카』, 「직접지각」장 중에서 ‘樂 등’의 자기인식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면서 니야야·바이셰시카 학파의 樂에 대한 견해를 검증하고 있다. 니야야·바이셰시카의 樂은 아트만의 속성인 동시에 아트만의 존재를 추리할 수 있는 證相의 하나로서 樂을 거론한다. 또한 이 樂에 대한 인식은 지식에 의해서 인식되므로, 이 경우 인식대상인 樂과 그것을 파악하는 지식은 비록 둘 다 아트만의 속성이지만 서로 다른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에 대한 다르마키르티는 樂, 苦, 욕망, 분노 등의 감수작용은 직접지각으로서의 ‘푸른색 그 자체’에 대한 인식작용과 동일한 것이라는 입장을 취한다. 즉 지식이 대상, 감각기관, 作意의 접촉에 의해서 일어나듯이, ‘낙 등’의 심리현상 또한 대상, 감각기관, 作意의 접촉이라는 동일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므로 지식과 다를 바가 없다고 한다. 나아가 다르마키르티는 니야야·바이셰시카의 ‘낙 등’과 지식이 다를 경우 생기는 모순을 차례차례 검증한다. 우선 다르마키르티는 ‘낙 등’의 심리현상을 감관지와 인식대상, 그리고 낙과 그것을 인식하는 지식이라는 네 가지 요소들로 분석한다. 그는 이 4요소들을 기준으로, ‘인식 시점의 문제’, ‘인식대상과 인식주체와의 대응관계의 문제’, ‘‘낙 등’을 일으키는 원인의 종류의 문제‘라는 관점에서 ‘낙 등’이 지식과 다를 경우를 면밀하게 검증한다. 끝으로 다르마키르티는 ‘낙 등’과 지식이 별개일 경우, 다른 사람이 느끼는 고통과 동일한 고통을 요가행자도 感受해야하는 논리적 오류를 지적하여, 자신의 주장의 타당성을 경험적 예증으로 마무리한다.

When Dharmakīrti mentions that pleasure etc.(sukhādi) are self-awareness(svasaṃvitti) in the pratyakṣa chapter, Pramāṇavārttika(PV), he examines pleasure of Nyāya-Vaiśeṣika doctrine(PV Ⅱ. 250-267). According to Nyāya-Vaiśeṣika, pleasure is one of the qualities(guṇas) that belongs to ātman. Also, pleasure is one of marks(liṅgas) to infer the being of ātman. Pleasure is cognized by awareness, a quality of ātman. Pleasure is the object of cognition, awareness is the means of cognition and Ātman is the subject of cognition. Therefore, pleasure and awareness are different qualities, although both belong to ātman. On the other hand, Dharmakīrti claims the position that all psychological phenomena, like pleasure, pain, desire, anger, etc. are exactly same as perception(pratyakṣa), the cognition for blue itself without connected to language because both of pleasure and perception are the result of the same cause, the contact among an object, a sensory organ and attention of the mind(manaskāra). Therefore, Dharmakīrti insists that pleasure, etc. are just knowledge like the cognition about blue itself. Thus, pleasure and knowledge must not be independent of each other, because they are the results that come from the same cause. Furthermore, Dharmakīrti points out one after another that there may be possibility to cause some contradictions in the case of relying on Nyāya-Vaiśeṣika’s viewpoint that pleasure, etc. are different from knowledge, and that pleasure should be cognized by knowledge. His criterions in the examination against Nyāya-Vaiśeṣika’s opinions can be summarized the following four points. First, when an object is cognized by knowledge. Second, how many objects and knowledge interact each other. Third, what kinds of causes produce pleasure. Fourth, Dharmakīrti proposes an example(sapakṣa) to prove pleasure is not different from knowledge: when Yogi cognizes the fact that the person has suffering, because Yogi’s perception to the other person’s pain is the means of cognition as same as the cognitive means in the person’s mind, the Yogi must feel the same pain belonging to the other person. Thus, Yogi’s perception and the other person’s cognitive means are the precisely same as knowledge, the means of cognition to pleasure that is the object of cognition(PV Ⅱ. 455-456). Dharmakīrti’s criticism to Nyāya-Vaiśeṣika’s pleasure, etc.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doctrine of self-awareness and of the two aspects of knowledge(dvi-rūpa)(PV Ⅱ. 266-267) which are the premier theories in Buddhist epistemology.
目次I서론. 36
II 니야야·바이셰시카의 樂. 40
III 다르마키르티의 논지. 44
IV ‘낙 등’과 지식의 동일성 논증. 45
V ‘낙 등’의 인식과정 논증. 48
VI 他心相續 의 ‘낙 등’에 대한 요가행자의 감수 논증. 54
VII 결론. 57
ISSN12263230 (P)
點閱次數28
建檔日期2023.10.21
更新日期2023.10.3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4668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