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에서는 RGV I.154-155에서 다루어진 여래장과 공성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보성론』이 어떤 맥락에서 여래장의 공성이란 주제를 도입하는지를 검토했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했다. 첫 번째는 『보성론』에서 설해지는 여래장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여래장의 세 의미를 다루었다. 두 번째는 궁극적인 것과 현상적인 요소 사이의 관계에 대한 『보성론』의 이해방식과 그 접근방식의 특징이 유식학과 어떤 점에서 차이가 나는지를 범부, 성문과 연각, 초발의보살의 경우에 대한 기술 속에서 추적하고 그 의미를 논의했다. 마지막으로세 번째는 RGV I.154-155의 전후 맥락에서 사용되는 술어나 인용문의 검토를 통해 『보성론』에서 제시된 해석이 이와 같은 술어와 비슷한 인용문에 의거하고 있는 유식문헌인 안혜(Sthiramati)의 『중변분별론석』의 해석과 달라지는 지점을 세 가지 점에서 논의했다. 이들 개소에 대한 두 텍스트의 서술상의 차이를 통해서, 여래장사상과 유식사상이 분기하게 된 이유의 일단을 추적하고자 했다.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Emptiness (śũnyatā) and Tathāgatagarbha dealt in the Ratnagotravibhāga I.154-155 and its commentary on these verses. Though these two concepts seem to be obviously uncompatible, the Ratnagotravibhāga tries to bridge these concep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I have focussed on three points: Firstly, as the prerequisite for understanding the meanings of Tathāgatagarbha in the Ratnagotravibhāga, it is necessary to realize that there are two aspects of Tathāgatagarbha: one relating with the causal level and the other with fruit-level. I discuss these two aspects with regard the three meaning of Tathāgatagarbha. Secondly, Ratnagotravibhāga deals with the description of the hindrances for three kinds of practitioners. theses hindrances, which were produced on the basis of the ignorance of the nature of the Tathāgatagarbha, is to be eliminated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emptiness. It is highly interesting in this context that Ratnagotravibhāga uses very similar terms with the Yogācāra texts. Thirdly, the terminological similarity should be noticed, if we want to investigate the reason why Ratnagotravibhāga departs from the Yogācāra texts. For this purpose, I compare the explanation of the Ratnagotravibhāga with that of the Madhyāntavibhāga-Bhāṣya of Vasubandhu and the Madhyāntaṭīkā of Sthiramati. The points dealt with are: (1) the reason for the distinction of the emptiness in the state of samala and nirmala. (2) the meaning of the emptiness in the state of samala and nirmala. (3) the meaning of unchangeability of the emptiness. By comparing the Ratnagotravibhāga with the Yogācāra texts, I am intending to show the departing points of the Yogācāra interpretation from the Ratnagotravibhāga which represents the Tathāgatagarbha school in India.
目次
I들어가는 말. 128 II 『보성론』에서 여래장의 성격. 130 III 여래장의 이해를 막는 장애. 134 IV RGV I.154-155와 MAVT에 나타난 여래장과 공성의 관계. 138 V 맺는 말.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