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인식의 ‘등불 비유’에 관한 해석 논쟁 - 실재의 내속성과 변충의 동일성 비교를 중심으로=The Argument on the Interpretation on the Metaphor of a Lamp on Cognition : focusing on the comparision of inherence(samavāya) of reality and identity(tādātmya) of accompaniment(vyāpti)
作者 박기열 (著)=Park, Ki-Yeal (au.)
出處題名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卷期n.49
出版日期2017
頁次31 - 56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者網址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연세대학교 외래강사
關鍵詞등불; 조명; 내속; 변충; 소취; 능취; 동일성; 자기인식; pradīpa; prakāśa; samavāya; vyāpti; grāhya; grāhaka; tādātmya; svasaṃvitti
摘要인식을 등불에 비유하는 것에 관한 해석 논쟁이란 실재론자들과 유식학파 사이에서 등불이 주위의 대상을 비추듯이 스스로도 비출 수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실재론자들은 등불은 스스로를 비출 수 없다는 입장이고, 유식학파는 등불은 스스로도 비출 수 있다는 입장이다. 바꾸어 말하면, 지식이 스스로를 대상으로 인식할 경우, 실재론자들은 다른 인식수단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지만, 유식학파는 스스로가 인식수단이 되기 때문에 다른 인식수단이 필요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실재론자들은 기본적으로 두 가지 실재들 사이의 연기관계를 부정하기 때문에 하나의 실재를 증인으로 다른 실재를 추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불합리를 해결하기 위해서 그들은 추리는 하나의 실재에 있어서능증과 소증이 내속 관계에 의해서 성립한다고 말한다. 가령 연기를 보고 불을 추리할 경우, 이미 알려진 눈앞의 피어오르는 연기의 속성을 증인으로, 아직 알려지지 않는 연기의 또 다른 속성으로서 불을 추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유식학파는 외계 실재란 본질적으로 개념적 구상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에, 연기와 불이 서로 다른 분별일지라도 변충의 종류 중에서 인과성에 의해서 추리가 가능하다. 인식의 등불 비유, 즉 지식이 인식대상일 경우 그것을 인식하는 수단에 관해서 실재론자들은 기본적으로 마나스에 의한 이해가 인식수단이 된다. 나아가 소증과 능증은 하나의 실재에 있어 불가리의 내속을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유식학파는 지식이 스스로가 대상에 대한 이해를 동반한다는 점에서 인식결과, 즉 자기인식이고, 이 자기인식은 소증과 능증이 변충의 동일성에 기반을 둔다.

The argument on the interpretation on the metaphor of the issue of cognition to a lamp is about whether a lamp illuminates itself or not. Realists have a position that a lamp cannot light itself, but Buddhist idealist (Yocācāravādin) insists a lamp is possible to light itself. In other words, in case that knowledge is cognitive object, the realists require the other cognitive subject to cognize it, the idealist, however, does not have to suppose the other cognitive means except knowledge itself. The realists deny basically causality between two separated real things, so it is impossible to infer a thing from the other thing because there is not any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They introduce the concept of inherence into their inference theory to solve inconsistency that reason and premise do not have relationship to infer one from the other. For example, when we infer fire from smoke, they say that an appearance climbs that is an experienced attribute of smoke causes us to infer the other thing, fire that is an unexperienced attribute of smoke. On the other hand, Buddhist idealist, not to admit outside-real being, says, though smoke and fire are different, they are same in terms that both of all are nothing more than conceptual construction, so inference is possible from smoke to fire because smoke and fire are under relationship of accompaniment. To conclude, the metaphor of cognition to a lamp, that is, in case that knowledge is cognitive object, on the means of cognition, the realists apply the cognition by manas for the means of cognition. In addition, there is inherence between cognitive object and subject. Buddhist idealist, however, just regards cognition itself as the means of cognition in terms that the result of cognition is the understanding of the cognitive object, and the result stands on the basis of identity of accompaniment between reason and premise.
目次I 서론. 32
II ‘인식의 등불 비유’의 용례와 분석. 34
III 인식작용에 있어 인식요소의 관계성. 42
IV 결론. 49
ISSN12263230 (P)
點閱次數25
建檔日期2023.10.22
更新日期2023.10.22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475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