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경량부 종자설에 대한 중현과 무착의 비판, 그리고 세친의 딜레마=Saṃghabhadra and Asaṅga’s Criticism on the Theory of Seeds(bīja) in Sautrāntika, and Vasubandhu’s Dilemma
作者 권오민 (著)=Kwon, Oh-min (au.)
出處題名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卷期n.49
出版日期2017
頁次187 - 225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者網址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경상대학교 철학과 교수.
關鍵詞세친의 종자설=Vasubandhu’s theory of bīja; 상좌 슈리라타의 수계설=Sthavira Śrīlāta’s the theory of pūrvānudhātu’; 중현의 종자설 비판=Saṃghabhadra’s criticism on the theory of bīja; 무착의 경량부 종자설 비판=Asaṅga’s criticism on the Sautrāntika’s theory of bīja
摘要본고에서는 『구사론』 상에 논설된 세친의 종자설과 관련하여 당시 경량부, 설일체유부, 유가행파의 대표 논사였던 상좌 슈리라타와 중현과 무착의 관계를 조망해보려고 하였다. 중현의 비판을 통해 볼 때, 세친의 종자설은 경량부의 上座(Sthavira) 슈리라타(Śrīlāta)의 隨界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것은 상좌설에 기초한 세친 자신의 이해라고 할만하다. 중현은 이들의 종자/수계설을 대체로 두 가지 점에서 비판한다. (1) 종자(能熏)가 所熏處인 마음(所熏)과 별도의 실체가 아니라면 단일한 마음에 種類가 다른 다수의 法性(공능 즉 종자)이 공존하여 선심에서도 불선이, 무루심에서도 번뇌(유루)가 생겨난다고 해야 하며, (2) 양자가 동시존재가 아니라면 前法(能熏)이 존재할 때 後法(所熏)은 아직 생겨나지 않았고 후법이 생겨났을 때 전법은 이미 소멸하였기 때문에 相應(화합)이 불가능하다. 이에 의하는 한 종자설을 주장하려면 최소한 (1) 종자(혹은 종자 소훈처)는 현행식(6識)과 다른 별도의 실체로서, (2) 이와 동시에 존재해야 한다는 두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안 된다. 유가행파의 ‘알라야식’은 바로 이를 충족한 개념이었다. 이에 따라 무착 역시 상좌(경량부)의 종자상속설을 중현과 동일한 논리로써 비판할 수 있었다. 세친은 중현을 天愛(devānām priya) 즉 ‘어리석은 이’로 호칭하며 경량부의 종자상속설을 지극히 당연한 이치라고 변호하였지만, 그 또한 대승 유가행파로 전향함에 따라 과거 자신이 善說로 천명하였던 경량부 종자설을 중현과 동일한 논리로써 비판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는 세친 개인으로서는 아이러니였고 딜레마였을 것이다. 그러나 추측컨대 그의 아이러니는 지적 편력에 따른 필연적인 것으로, ‘理長爲宗’이라는 그에 대한 후대의 평가도 이에 따른 修辭였을지 모르겠다.

This thesis survey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havira Śrīlāta, Saṃghabhadra and Asaṅga who was the known master of Sautrāntika, Sarvāstivāda, and Yogācāra respectively in regards to the Vasubandhu’s theory of seeds(bīja) argued in Abhidharmakośabhāṣya. Seen through Saṃghabhadra’s criticism, Vasubandhu’s theory of seeds is in a close relation with the theory of ‘previous accompanied-elements(pūrvānudhātu)’ by Sautrāntika’s Sthavira Śrīlāta. It seems like that is a Vasubandhu’s own understanding based on the Sthavira’s theory. Saṃghabhadra criticize their theory of seeds and ‘previous accompanied-elements’ roughly in two ways. (1) If the seeds are not separate beings with consciousness which is the basis(āśraya) of seeds, it should be said that un-good mind(不善心) can emerge from good mind(善心) because there are an immeasurable number of seeds of good, evil and etc. in a unity. (2) If both are not together at the same time, a mutual relationship(saṃbandha) is impossible. According to Saṃghabhadra’s criticism, to argue the theory of seeds, following two conditions have to satisfy at least. That (1) seeds (or the basis of seeds) have to exist as separate beings to current six consciousness, (2) but also have to exist simultaneously. The concept ‘ālayavijñāna’ suggested by Yogācāra satisfied these conditions. So Asaṅga could also criticized Sthavira’s theory of the serial continuity(saṃtati) of seeds in the same logic with Saṃghabhadra’s. Vasubandhu defended Sautrāntika’s theory of the serial continuity of seeds as a very common sense, while calling Saṃghabhadra as ‘a fool(devānām priya)’. However, as he himself converted to Mahāyāna Yogācāra, he had to criticize the Sautrāntika’s theory of seeds, which he declared before as the best opinion, in the same logic with Saṃghabhadra’s. To Vasubandhu, this would be an irony and dilemma personally. Though at a guess, following his intellectual journey, his irony was inevitable and the later criticism calling him as li chang wei zong(理長爲宗, i.e. taking the best theory as his own regardless of whom it came from) may also be the rhetoric which to explain that.
目次I 서언. 188
II 세친 종자설과 경량부. 190
III 세친 종자설에 관한 오해. 195
IV 경량부 종자설에 대한 중현과 무착의 비판.200

V 세친의 딜레마: 경량부 종자설의 변호와 비판. 211
VI 결어. 219
ISSN12263230 (P)
點閱次數31
建檔日期2023.10.22
更新日期2023.10.22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4769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