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유식학파의 중도 개념 재검토 - 『중변분별론』을 중심으로=A Re-examination on the Middle Way Conception of Vijñānavāda: Centering on the Madhyantavibhagabhasya
作者 남수영 (著)=Nam, Soo-young (au.)
出處題名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卷期n.50
出版日期2017
頁次303 - 336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者網址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중앙승가대학교 강사
關鍵詞유식학파; 중관학파; 중도 개념=middle way; 비유비무=neither being nor non-being; neither emptiness nor non-emptiness=비공비불공; 허망분별; 공성; 소취-능취; Madhyamika; Vijñānavāda; apprehended-apprehender
摘要중관학파와 유식학파는 대승불교의 중심 학파들이지만, 그 두 학파의 중도 개념은 동일하지 않다. 왜냐하면 용수(龍樹)는 중도를 비유비무(非有非無)라고 설명하면서, 공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지만, 『중변분별론』은 중도를 비공비불공(非空非不空)이라고 설명하면서, 공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유식학파가 용수의 중도 개념을 부정하고, 새로운 중도를 주장하게 되었던 동기는 무엇인가?’라는 의문이 제기된다. 그러므로 논자는 본 연구에서 유식학파 중도 개념의 특징과 의미 등에 대한 재검토를 통하여 유식학파 중도 개념의 동기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유식학파의 중도 개념은 허망분별의 존재성 승인, 공성의 존재성 승인, 소취-능취의 존재성 부정이라는 세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그 내용은 모두 부파불교의 법유설과 중관학파의 법공설에 대한 비판인 동시에, 기존의 불교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새로운 불교 사상이다. 이로부터 유식학파의 중도 개념은 ①부파불교의 법유설 비판, ②중관학파의 법공설 비판, ③유식이라는 새로운 불교 사상의 확립을 의미함을 알 수 있다. 유식학파의 발생 동기는 중도 개념의 의미와 마찬가지로 ①부파불교의 법유설 비판, ②중관학파의 법공설 비판, 그리고 ③유식관의 선정 체험에 근거한 새로운 불교 사상의 확립으로 요약된다. 왜냐하면 유식학파는 유가사(瑜伽師)들의 선정 체험을 바탕으로 해서 형성된 학파로서, 『해심밀경』이나 『유가사지론』 등의 최초기 경론에 이미 부파불교의 법유설과 중관학파의 법공설에 대한 비판의 문구들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유식학파의 중도 개념을 구성하는 세 항목의 동기를 살펴보면, 유식학파 중도 개념의 동기는 유식학파의 발생 동기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요컨대 유식학파의 ‘비공비불공’ 중도 개념은 부파불교의 법유론과 중관학파의 법공설을 비판하고, 윤회, 해탈, 공성 등 불교의 핵심 개념들을 유식관의 선정 체험에 따라 설명함으로써, 자신들의 유식 사상을 새로운 대승불교로 확립하기 위한 개념 틀이었던 것이다.

Madhyamika and Vijñānavāda are the main schools of Mahāyāna Buddhism, but the middle way conceptions of the two schools are not same. Because Nagārjuna uses the middle way as same meaning to the śūnyatā, explaining the middle way as the neither being nor non-being(非有非無), but Vijñānavāda use the middle way as different meaning to the śūnyatā, explaining the middle way as the neither emptiness nor non-emptiness(非空非不空). Here a question arises as follows. ‘Why Vijñānavāda insists on a new middle way denying Nagarjuna’s middle way?’ So this writer studied the motive of the middle way conception of Vijñānavāda. The Vijñānavāda’s middle way conception is the critique of the dharma existence theory(法有說) of scholastic buddhism and the dharma emptiness theory(法空說) of Madhyanika. Because the three items, composing the middle way conception of Vijñānavāda, the being of false imagination(虛妄分別), the being of emptiness(空性), and the non-being of apprehended-apprehender(所取-能取) are the critiques of the dharma existence theory of scholastic buddhism and the dharma emptiness theory of Madhyamika. Vijñānavāda be seemed to have critical attitude to the dharma existence theory of scholastic buddhism and the dharma emptiness theory of Madhyamika from the beginning. Because according to mention of Saṁdhinirmocana-sūtra etc., the occurrence motives of Vijñānavāda are seemed to ①the critique of dharma existence theory of scholastic buddhism, ②the critique of dharma emptiness theory of Madhyamika, and ③the establishment of new buddhist thought of Vijñānavāda. The motives of middle way conception of Vijñānavāda are same as the occurrence motives of Vijñānavāda. To sum up, the middle way conception of neither emptiness nor non-emptiness of Vijñānavāda is a frame conception for establishing Vijñānavāda as new Mahāyāna Buddhism, by criticizing of the dharma existence theory of scholastic buddhism and the dharma emptiness theory of Madhyamika, and by explaining central conceptions of Buddhism, the repetition of rebirth, the ultimate liberation, and the emptiness etc. through new method.
目次I 서론. 304
II 국내외 연구 동향. 306
III 유식학파 중도 개념의 특징. 309
IV유식학파 중도 개념의 의미. 313
V유식학파 중도 개념의 동기. 318
VI 결론 330
ISSN12263230 (P)
點閱次數28
建檔日期2023.10.22
更新日期2023.10.22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4803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