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불교철학의 비존재와 비인식의 관계 -『니야야빈두』 「위자비량」과 다르못타라의 주석을 중심으로=The Relatedness between abhāva and anupalabdhi in Svārthānumānaparicchedaḥ of Nyāyabindu and Dharmottara’s ṭīkā
作者 박기열 (著)=Park, Ki-Yeal (au.)
出處題名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卷期n.53
出版日期2018
頁次219 - 255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者網址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關鍵詞존재; 인식; 자성; 비존재; 비인식; anupalabdhi; abhāva; svabhāva; upalabdhi; bhāva
摘要다르마키르티의 비인식(anupalabdhi)을 『니야야빈두』 제2장 「爲自比量」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여기서의 비인식이란 디그나가의 ‘증인의 삼상’을 갖춘 바른 증인의 하나로 취급되는 개념이다. 즉 비인식은 이유 명제의 능증으로서 주장 명제의 소증(=비존재)과 불가분리의 수반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비존재와 비인식이란 본질적으로 어떤 것에 대한 두 가지 다른 표현에 불과하다. Ⅱ에서는 본고의 주제의 이해를 위한 기반 이론으로서 ‘존재와 인식’에 관한 불교적 관점을 ‘법(dharma)과 유법(dharmin)’ ‘존재(bhāva)와 자성(svabhāva)’ 등의 관계 속에서 조명한다. Ⅲ에서는 다르마키르티의 증인의 삼상의 특징과 세 종류의 증인, 증상과 증상보유자의 관계를 ‘결과의 증인’과 ‘자성의 증인’으로 나누어서 고찰하는 것에 의해서 능증과 소증의 관계를 분명히 한다. Ⅳ에서는 비존재와 비인식을 NBṬ 2.13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Ⅴ에서는 NB 2.32-42까지의 비인식의 용례(=논증식)들을 분석하고, 비존재와 비인식의 관계를 종합 검토한다. 본고는 불교논리학이 비존재를 추리의 일종으로 분류하는 이유를 비인식의 능증을 통해서 명확히 하고자 한다. 또한 불교논리학에 있어 ‘자성의 증인(svabhāvahetu)’에 의한 능증과 소증의 ‘동일성(tādātmya)’의 논리가 불교인식론에 있어 ‘자기인식(svasamvitti)’에 상당할 수 있기에 두 개념의 통섭적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한다.

This paper studies on anupalabdhi. It is the conception to be treated as a kind of three hetu-s(trairūpya) asserted by Dharmakīrti. Anupalabdhi is sādhana as well in the hetu premise and it is in the avinābhāva relatedness with abhāva that is sādhya in the pakṣa premise. Therefore. anupalabdhi and abhāva do not apply separately to the different things, but both of all reflect the being supported by two expressions as following each role in the syllogism completed by Dignāga. Firstly, the basic theories about the relatedness bhāva and upalabdhi are explained from the view of Buddhist epistemology and logic in the chapter two of the paper, considering the key words such as dharma and dharmin, bhāva and svabhāva as introduction for abhāva and anupalabdhi. The main purpose of the part three in the research is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 of Dharmakīrti’s logic about trairūpya, trividham and the relation between sādhana and sādhya. Especially how svabhāvahetu is more essential than kāryahetu, pointing out the cross spot between the conception of bhāva and of svabhāva as each role of sādhya and sādhana. In the chapter four, the topics are unfolded about abhāva, anupalabudhi, and their relatedness in the syllogism. On the other hand, NB 2.13 and Dharmottara’s ṭīkā are contemplated. They explain well about how anupalabdhi(noncognition) is possible to experience directly(dṛśya) against the nonexistence(abhāva). In the chapter five, the eleven types of anupalabdhi-s described from NB 2.32 to 2.42 are analyzed by the five fields: sādhana, shādhya, tadutpatti or tādātmya, applying in each sūtra, and sūtra no. The paper may tell the reason specifically that Dharmakīrti makes anupalabdhi to be under anumāna, in contrast that it is classified as the independent means of cognition(pramāṇa) by one of his debate partners, Kumārila. Moreover, the logic of tādātmya by svabhāvahetu in Buddhist inference(anumāna) theory may have the location as same as the conception of self-awareness(svasamvitti) in Buddhist perception(pratyakṣa) theory(epistemology). If so, the advanced research in terms of how tādātmya can be connected with svasamvitti would be repaid.
目次I 서론. 220
II 존재(bhāva)와 인식(upalabdhi)의 관계. 221
III 證因의 三相(trairūpya)을 충족하는 세 가지 證相과 증상보유자의 관계. 231

IV 비존재(abhāva)・비인식(anupalabdhi)과 소증・능증의 관계. 238

V 비인식(=능증)의 용례의 분류기준과 비존재(=소증)의 성립. 245
VI 결론. 249
ISSN12263230 (P)
點閱次數32
建檔日期2023.10.28
更新日期2023.10.28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5307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