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바마하(Bhāmaha)의 ‘의미의 수사법’(arthālaṃkāra)에 대하여 (Ⅱ)『카비야알람카라』(Kāvyālaṃkāra) 제3장을 중심으로=Bhāmaha’s Arthālaṃkāras (Ⅱ): Especially in the 3rd Pariccheda of Kāvyālaṃkāra
作者 류현정 (著)=Ryoo, Hyun-jung (au.)
出處題名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卷期n.56
出版日期2019
頁次311 - 358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者網址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서울대학교 시간강사
關鍵詞알람카라= alaṃkāra; 산스크리트 수사법=sanskrit figure of speech; 의미의 수사법; 바마하= Bhāmaha; 카비야알람카라= Kāvyālaṃkāra; arthālaṃkāra
摘要본고는 인도 시학 전통에서 초기 수사론자에 해당하는 바마하(Bhāmaha, 7세기경)의 『카비야알람카라』(Kāvyālaṃkāra, 이하 KA) 제3장에 제시된 ‘의미의 수사법’(arthālaṃkāra)의 정의와 적용례를 원문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초기 수사론서에 나타난 수사법들의 의미와 분류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바마하는 KA 제3장에서 (1)프레야스(preyas), (2)라사바트(rasavat), (3)우르자스빈(ūrjasvin)을 비롯하여 총 23가지에 이르는 ‘의미의 수사법’을 제시하고 있다. 각 수사법은 KA 제2장에 제시된 것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준이 다양할 뿐더러 유동적 해석이 가능한 정의와 적용례로 나타나는데, 수사법이 지니는 이러한 특징은 후대 수사론자들의 다양한 해석과 세밀한 분류기준을 낳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먼저 KA 제3장의 전체적인 구조와 내용에 대해 간략히 제시한 후, 각 수사법의 정의 및 적용례를 원문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관련 논의에 대해 점검하며 그 의미를 고찰해 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도 고전 문학, 특히 산스크리트 문학의 수사법에 대한 연구의 단초를 마련하고, 초기 수사론자로서 바마하의 수사법 체계가 지니는 의의를 짚어 보고자 한다.

In Indian poetics and literary criticism, various figures of speech(alaṃkāra) have been played an important role as elements of versification. Among those authors who had written the treatises on poetics, Bhāmaha imbued the alaṃkāra with special significance in his Kāvyālaṃkāra(KA). In the article, I tried to translate and examine the 3rd pariccheda of KA in which 23 kinds of arthālaṃkāras, that is, (1) preyas, (2) rasavat, (3) ūrjasvin, (4) paryāyokta, (5) samāhita, (6) two kinds of udātta, (7) three kinds of śleṣa(śliṣṭa), (8) apahnuti, (9) viśeṣokti, (10) virodha, (11) tulyayogitā, (12) aprastutapraśaṃsā, (13) vyājastuti, (14) nidarśanā, (15) upamārūpaka, (16) upameyopamā, (17) sahokti, (18) parivṛtti, (19) sasandeha, (20) ananvaya, (21) utprekṣāvayava, (22) saṃsṛṣṭi, and (23) bhāvika. These arthālaṃkāras in the 3rd pariccheda of KA which are treated individually without clear classifying standards can cause various interpretation. Therefore, later scholars show difference in opinions in some points in translating or interpreting some of them. Though Bhāmaha’s list was somewhat unorganized or even vague with extensive denotation at some points, the purpose of using alaṃkāras was precisely focused on delivering poet’s intention to readers more effectively, beautifully and easier. This purpose is well presented especially in the last member of the alaṃkāras, the bhāvika. As a stepping stone for the further study, in the 2nd chapter, I represented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3rd pariccheda of KA briefly. In succession, on the 3rd chapter, I dealt with 23 arthālaṃkāras respectively, with some involved or disputable comments pointed out by preceding researches. In concluding I tried to present a table of those arthālaṃkāras according to my own classification which might show their respective features.
目次I 머리말. 312
II KA 제3장의 구성과 내용. 313
III 각 수사법의 정의와 적용례. 315
IV 맺음말 352
ISSN12263230 (P)
DOI10.32761/kjip.2019..56.009
點閱次數58
建檔日期2023.10.28
更新日期2023.10.28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5337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