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요기니탄트라의 다키니(ḍākinī) - 용례 분석과 주석가들의 해설을 중심으로=A Study on ḍākinī described in Yoginītantras: with its nirukti by later commentators
作者 방정란 (著)=Bang, Jung-lan (au.)
出處題名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卷期n.57
出版日期2019
頁次351 - 375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者網址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일본 대정대학 종합불교연구소
關鍵詞다키니= ḍākinī; 요기니탄트라= Yoginītantras; 샴바라/삼바라 전통=Śaṃvara/Saṃvara tradition; 차크라삼바라탄트라; Bhavabhaṭṭa; Sarvabuddhasamāyogaḍākinījālaśaṃvara
摘要반신(半神)부터 성스러운 여성신격을 포괄하는 말로서 샤이바 전통에서 요기니(yoginī)를 사용한 것에 대응하여 바즈라야나는 유사한 경우에 다키니(ḍākinī)라는 용어를 선호한다. 후대로 갈수록 바즈라야나의 다키니는 수행자를 해탈로 이끄는 강력한 능력을 지닌, 밀교 수행에 신비적이며 핵심적인 존재로 그려진다. 그러므로 다키니의 서술은 해탈도에서 지혜(prajñā)가 강조되는 탄트라의 수행 전통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맥락을 제공한다. 인간을 위협하고 해칠 수 있는 위험한 존재라는 점, 그리고 ḍākinī에 해당하는 티벳역이 말해주듯이 하늘을 나는 존재(mkha’ ’gro ma)라는 점이 일반적으로 그려지는 다키니의 특징(lakṣaṇa)이다. 하지만 다키니에 대한 서술을 연대와 전통에 따라 면밀히 살펴보면, 이 두 가지가 처음부터 대표적인 다키니의 특징으로서 불교 탄트라에서 확립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다키니 기원 자체는 불교 밖에 뿌리를 둔 것으로 불교에서 차용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바즈라야나는 힌두교의 다키니와 불교의 다키니를 어떻게 차별화하는가. 이러한 과정은 불교 탄트라 문헌에서 다키니가 묘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밝혀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는 다키니의 특징이 발전하는 단계를 원전을 통해 살펴보는 데 주안점을 둔다. 특히 요기니탄트라 문헌들을 주석하는 저자들이 다키니의 의미를 해명하는 부분을 통해 다키니의 위상이 확립되는 과정을 추적해 본다.

A sacred female being, ḍākinī, is described as a significant figure in an early Yoginītantra, the Sarvabuddhasamāyogaḍākinījālaśaṃvara while the position of ḍākinī remains as having a secondary status in Yogottaratantras. In addition, as the Tibetan translation of ḍākinī, mkha' 'gro ma (sky-goer), shows, they are described as having a capability of flying. However, the emphasis on this characteristic of the ḍākinī was not developed in early non-Yoginītantra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demonstrate the develop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ḍākinī from passages related to ḍākinī in Buddhist tantric texts. In the beginning of this paper, previous studies on ḍākinī are introduced. Then, descriptions of the term ḍākinī in non-Yoginītantras such as the Mahāvairocanābhisambodhi, Sarvatathāgatattvasaṃgraha, and Guhyasamājatantra are analysed in the second chapter. And in order to elucidate the elevated position of ḍākinī in Yoginītantras, verses from the Sarvabuddhasamāyogaḍākinījālaśaṃvara, one of the earliest Yoginītantra, are examined in the third chapter. Lastly, the nirukti-styled interpretation of ḍākinī expounded by later Vajrayāna authors, i.e., in Bhavabhaṭṭa’s Vivṛti, a commentary on the Cakrasaṃvaratantra and in Ratnākaraśānti’s Guṇavatī, a commentary on the Mahāmāyātantra, is introduced.
目次I 들어가며. 352
II 요가탄트라 문헌의 용례. 355
III 요가니탄트라 문헌의 용례. 358
IV 주석가들의 ḍākinī 해설. 362
V 결론.368
ISSN12263230 (P)
點閱次數45
建檔日期2023.10.29
更新日期2023.10.2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5379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