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Googling Sacred Texts: Wikipedia, Blogs, and Other Digital Information on Prince Sho-toku’s Sangyo--gisho
作者 Dennis, Mark (著)
出處題名 불교문예연구=The Journal of Buddhist Culture and Art
卷期n.7
出版日期2016.08
頁次129 - 156
出版者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Buddhist Culture and Art Laboratory
出版者網址 http://dongbang.ac.kr/html/laboratory03/sub01.php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英文=English
附註項Texas Christian University
關鍵詞구글= Google; 성전=sacred texts; 쇼토쿠 태자=Prince Sho-toku; 삼경의소=Sangyo--gisho; 위키피디아= Wikipedia; 블로그= blogs; 디지털 문헌=digital texts
摘要이 논문은 스마트 폰, 컴퓨터, 혹은 태블릿PC와 같은 전자기기를 통해서 정보를 구글링(구글로 검색하기)하는 명확하게 현대적인 실천을 검토한다. 구글과 다른 검색엔진뿐만 아니라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사전,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성전(sacred texts)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해진 것은 10~15년 전에는 상상조자 할 수 없던 일이다. 이러한 디 지털 도구의 개발은 간접적으로 성전에 다가갈 수 있는 다수의 새로운 경로 를 만들어낸다.
이 논문은 전통적으로 일본의 쇼토쿠 태자 (574~622)가 저술한 것으로 보 는“삼경의소”(三 義疏, 세경전에대한논평)에대해검토한다.“ 삼경의소” 는 한문으로 쓰인 세 권의 불교 주석서를 통칭하는 제목이다. 이 논문은 이들 세 문헌에 대해 구글 검색에서 수집된 정보를 전통적 형식의 불교 주해와 비교하는 방법을 숙고한다. 이들 문헌에 대한 디지털과“비주석적”형식에 초 점을 맞춤으로써 나는 우리가 문헌에 관심을 기울이는 상이한 방법들이 어떻 게 문헌의 의미와 가치를 재생산하는가를 묻는 것뿐만 아니라 그들이 어떻게 연관되고, 서로에게 영향을 주는지를 질문하는 것처럼“삼경의소”에 대한 보 다 포괄적인 이해를 발전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distinctly modern practice of Googling information on an electronic device: smart phone, computer, or tablet. It has become possible to access sacred texts not only through Google and other search engines but also through digital interfaces, such as online databases, dictionaries, and computer applications, which would have been unimaginable just ten or fifteen years ago. The development of these digital tools creates new pathways, many of them indirect, to sacred texts.
The article examines the “Sangyo--gisho”(Commentaries on the Three Su-tras), a composite title for three Buddhist commentarie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attributed to Japan’s Prince Sho-toku (574-622). It considers how information gleaned from Google searches of these three texts compares to traditional forms of Buddhist exegesis. By focusing on such digital and“ non-exegetical”forms of information about these texts, I hope we can develop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Sangyo--gisho as we question how these different modes of textual engagement not only reproduce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texts, but how also they relate to and influence each other.
目次I. Introduction 131
 Ⅱ. Textual Practices in Buddhist History 136
 Ⅲ. Googling the Sangyo--gisho 140
  1. Sangyo--gisho as Event 140
  2. Exegesis of Sangyo--gisho 141
  3. Passive voice 142
  4. Debate over the Authorship of the Sangyo--gisho 143
  5. Prince Shotoku’sRelationship With Hyeja 146
  6. Conclusion 148
 Bibliography 155
ISSN22889191 (P)
點閱次數26
建檔日期2023.11.12
更新日期2023.11.12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663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