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조선시대 오대산의 왕실불교와 원당의 운영=Royal Buddhism and Buddhist Shrines of Odaesan Mountain in the Joseon Dynasty
作者 탁효정 (著)=Tak, Hyo-jeong (au.)
出處題名 불교문예연구=The Journal of Buddhist Culture and Art
卷期n.20
出版日期2022.12
頁次201 - 233
出版者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Buddhist Culture and Art Laboratory
出版者網址 http://dongbang.ac.kr/html/laboratory03/sub01.php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순천대학교 학술연구교수
關鍵詞문수보살=Bodhisattva Munsu; 원당; 왕실=Royal Family; 오대산=Odaesan Mountain; 불교= Buddhism; 조선; Joseon Dynasty; Buddhist Shrines
摘要본 논문은 조선시대 오대산에 설치된 왕실원당을 중심으로 조선 왕실의 오 대산 신앙을 고찰한 연구이다. 조선시대 오대산에는 태종대부터 고종까지 총 9차례에 걸쳐 왕실의 원당과 원불이 조성되었다. 태종대 태상왕 이성계의 사자암 중수, 세종대 양녕대군과 효령대군의 월정사 중창, 세조대 세조의 상원사 중창, 의숙공주의 원불 조성, 상의조씨의 영감암 중창, 선조대 영감사의 실록수호사찰 지정, 인조대 소현세 자를 위한 제석천상 중수, 고종대 국태민안을 발원하는 불상의 이운 등이 이어 졌다. 오대산에 설치된 왕실원당의 성격은 세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오대산에 대한 조선 왕실의 깊은 신앙심이 원당 설치의 기저에 깔려 있다는 점이다. 명산에 기도처를 세우고 국가의 안녕을 발원하던 오랜 전통은 불교의 유입 이후 보살상주 신앙으로 변화하였고, 이 전통을 이어받은 조선 왕실은 국가와 왕실의 안녕을 발원 하는 기도처를 오대산에 지속적으로 설치하였다. 둘째, 천재지변을 극복하기 위한 기도처가 계속 이어졌다는 점이다. 고대부터 국가에 천재지변이 발생하거나 왕실에 환란이 있을 때마다 산천단묘에서 제사를 지내던 전통은 불교의 유입 이후 대부분 사찰로 흡수되었다. 특히 오대산과 금강산, 태백산과 같은 명산들은 국가 주도의 소재법석이 벌어지는 대표적인 명소였다. 셋째, 요절하거나 병든 왕실구성원을 위로하기 위한 원당과 원불이 계속 조 성되었다는 점이다. 조선중기 이후 대부분의 왕실의례가 유교식으로 전환된 이후에도 조선 왕실에서는 왕실 차원의 추천불사를 계속 이어나갔다. 특히 젊 은 나이에 요절하거나 안타까운 사연으로 사망한 왕실구성원을 위한 원당은 조선말까지 계속 이어졌다. 오대산은 신라시대에는 문수보살의 상주처로, 고려시대에는 국가의 비보사 찰로 숭앙되었고, 조선시대에는 왕실의 대표적인 기도처로 유지되었다. 조선 왕실은 고대부터 이어진 오대산 신앙을 계승하여 왕조가 지속되는 내내 국가 와 왕실의 안녕을 발원하는 기도처를 운영하였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beliefs for Odaesan Mountain of the royal family in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Royal Buddhist Shrines installed in Odaesan Mountain during the Joseon Dynasty. Buddhist Shrines and Buddha of the vow were installed on Odaesan Mountain during the Joseon Dynasty from King Taejong to King Gojong 9 times. King Taesang Lee Seong-gye’s Sajaam Hermitage renovation, Royal Prince Yangnyeong and Royal Prince Hyoryeong’s Woljeongsa Temple renovation, King Sejo’s Sangwonsa Temple renovation, Princess Ui-suk’s Buddha of the vow creation, Sangeui-jo clan’s Yeonggamam Hermitage renovation, in King Seonjo times Yeonggamsa Temple designation as the guardian temple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n King Injo times the restoration of Indra Statue for Royal Prince Sohyeon and the recovery of the Buddha statue calling for the national peace in King Gojong times were followed. The characteristics of Royal Buddhist Shrines installed on Odaesan Mountain can be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the Joseon royal family's deep faith in Odaesan Mountain is based on Royal Buddhist Shrines. The long tradition of building a place of prayer in a famous mountain and praying for national well being has changed to a bodhisattva belief after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keeping with this tradition, the Joseon royal family continued to install prayer places on Odaesan Mountain. Second, prayers to overcome natural disasters continued. Since ancient times, the tradition of holding ancestral rites at altar whenever there is a national disaster or a tribulation in the royal family has been absorbed into most temples after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particular, famous mountains such as Odaesan Mountain, Geumgangsan Mountain, and Taebaeksan Mountain were representative places where the national leading ceremonies took place. Third, Buddhist Shrines and Buddha of the vow were continuously created to comfort members of the royal family who died or were ill. After the mid-Joseon Dynasty period, even after most royal ceremonies were converted to Confucianism, the royal family of Joseon Dynasty continued to recommend Buddhist rituals at the royal level. In particular, the Buddhist Shrines for members of the royal family who died at a young age or due to a sad story continued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Odaesan Mountain was revered as the residence of the Bodhisattva Munsu in the Silla Dynasty, as a national treasure temple in the Goryeo Dynasty, and was maintained as a representative prayer place of the royal famil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Joseon royal family inherited the Odaesan Mountain belief from ancient times and built Buddhist Shrines and Buddha of the vow to pray for the well being of the nation and the royal family throughout the dynasty.
目次I. 머리말 203
Ⅱ. 오대산 왕실원당의 설치 배경 205
Ⅲ. 오대산에 설치된 역대 왕실원당 209
    1. 태상왕 이성계의 사자암 중수 209
    2. 양녕대군․효령대군의 월정사 중창 212
    3. 세조의 구병기도처, 상원사 중창 213
    4. 의숙공주의 득남발원, 문수동자상 조성 215
    5. 상의 조씨의 영감암 중창 217
    6. 영감사의 실록수호사찰 지정 220
    7. 소현세자의 원불(願佛), 상원사 목조제석천상 중수 224
    8. 국태민안 원불, 상원사 영산전 존상 이안 226
Ⅳ. 맺음말: 오대산 왕실원당의 성격 228
ISSN22889191 (P)
點閱次數27
建檔日期2023.11.25
更新日期2023.11.25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7771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