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황벽의 무심(無心) 사상 고찰 - 『전심법요』와 『완릉록』을 중심으로 -=Study of Hwangbyeok’s “Absentheartedness” with a focus on “Jeonsimbeopyo” and “Wanneungrok”
作者 신명희 (著)=Sin, Myung-hee (au.)
出處題名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卷期v.64 n.0
出版日期2023.04
頁次31 - 64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者網址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 강사
關鍵詞황벽=黃檗= Hwangbyeok; 무심=無心= absentedheartedness; 『전심법요』=『Jeonsimbeopyo』; 심시불=心是佛= Simsibul; 돈오=頓悟= Dono; Hong Ju-jong=洪州宗; Zen Buddhism=禪宗
摘要본고는 당나라 선사인 황벽의 무심 사상을 주제로 한다. 황벽 희운이 활동했던 시대는 당나라 중기에서 말기이다. 선종의 조사선이 시작되어 5가 7종 분파로 나뉘어 발전하였는데, 이 분파가 시작되려는 즈음에 황벽이 활동했다. 황벽의 어록인 『전심법요』와 『완릉록』은 조사선의 체계를 이루는데, 구심점 역할을 하였다. 중국선은 ‘심(心)’사상의 전개이다. 선사들마다 각기 다르게 마음을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는데, 황벽의 무심(無心)은 이전 선사들의 심사상보다 한 단계 업그래이드된 무심 사상이라고 볼 수 있다. 황벽의 무심은 돈오 사상에 근간을 두고 있으며, 어떤 방편을 필요로 하지 않는 돈오무심(頓悟無心)이다. 그러면서 황벽은 그 무심한 경지가 바로 부처[心是佛]라고 하였다. 이 황벽의 무심사상은 선사와 동시대 승려인 하택종의 종밀에게 비판을 받는다. 종밀은 돈오사상에 입각한 진성(眞性)만을 ‘지(知)’라고 보았다면, 황벽은 형이상학적인 추론이 아닌 중생의 견문각지(見聞覺知) 작용 그대로를 불성이라고 하였다. 황벽의 선은 그 견문각지하되 견문각지 행위에 머물지 않는 무심이 강조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선의 역사는 형이상학적 본체론이 아닌 전체 작용 그대로가 불성의 발현이라는 황벽선이 선사상사(禪思想史)에 면면히 흐르고 있다.

The agenda of this paper is absentheartedness of Hwangbyeok, the Zen master of the Tang Dynasty. The period when Hwangbyeok Hee-woon was active was from the mid to late Tang Dynasty. The Josa Zen began and developed into 7 branches of 5 houses, and Hwangbyeok was active around the time when a branch was about to begin. The quotes of Hwangbyeok, “Jeonsimbeopyo” and “Wanneungrok,” played critical role in forming the system of the Josa Zen. The Chinese Zen is the development of the idea of the “heart (心).” Each Zen master expresses his or her mind in a variety of ways, and Hwangbyeok's absentheartedness can be seen as an upgraded heart from the previous Zen masters. Hwangbyeok's absentheartedness is based on Dono ideology, and it is Dono Musim (頓悟無心) that does not require any means. Hwangbyeok claimed that this state of indifferent state was Buddha [心是佛]. This Hwangbyeok's absentheartedness was criticized by the Jong-mil of Ha Taek Jong, a Buddhist monk of the same time as the Zen master. While Jong-mil considered only Jinsung (眞性) based on the Dono ideology as “ji (知),” Hwangbyeok called the action of Gyeonmungakji (見聞覺知) of the people as Buddha, not metaphysical reasoning. It can be seen that the Zen Hwangbyeok emphasized the indifference which does not remain in the act of the Gyeonmungakji, while remaining to be Gyeonmungakji. The history of Zen is not a metaphysical body theory, but the Hwangbyeok Zen, which is the expression of Buddhist ideology as it is, flows in the Zen history (禪思想史).
目次Ⅰ. 들어가면서 32

Ⅱ. 황벽선의 시대적 배경 및 사상적 기연(機緣 33

1. 황벽선의 시대적 배경 33

2. 황벽의 어록 기록자인 배휴와 황벽의 기연 36

Ⅲ. 대승경전에 나타난 무심 사상 38

1. 『금강경』의 무심 38

2. 『유마경』의 무심 40

Ⅳ. 황벽의 선사상 43

1. 황벽의 무심 43

2. 황벽의 심시불(心是佛) 52

3. 종밀의 비판에 비춰본 황벽의 무심 사상 56

Ⅴ. 나가면서 60
ISSN15980588 (P)
點閱次數9
建檔日期2023.12.09
更新日期2023.12.0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8707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