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고려-조선전기 나한신앙과 나한상의 특성에 대한 일고찰=Characteristics of Arhat Worship and Visual Image in the Goryeo-Early Joseon Period
作者 신광희 (著)=Shin, Kwang-hee (au.)
出處題名 불교학보=佛教學報
卷期v.101 n.0
出版日期2023.03
頁次219 - 249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者網址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연구교수


關鍵詞고려= Goryeo; 조선전기=Early Joseon; 오백나한=Five Hundred Arhats; 십육나한=Sixteen Arhats
摘要한국 나한신앙의 흐름에서 고려는 신앙과 도상(圖像)이 성립된 시기이며, 조선 전기인 15-16세기는 고려의 전통성과 새롭게 창출된 신경향이 공존하는 시기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한국 나한상(羅漢像)의 현존 유구가 조선 후기에 집중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려-조선전기에 주목해 보았다. 그리고 그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신앙 성격, 나한상의 구성과 도상 표현, 그리고 나한상의 봉안과 배치를 검토했다.
본 논문은 논지 전개과정에서 조선전기 <십육나한도>의 신자료를 소개했고 영월 창령사(蒼嶺寺) <석조오백나한상>의 용도, 조형적 특징, 그리고 봉안처 등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해 보았다. 그 결과 신출(新出) <십육나한도>의 경우, 조선 전기 나한도상의 신경향을 엿보게 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음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창령사 <석조오백나한상>은 당시 기우제(祈雨祭)를 지낼 때 예배의 대상으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본 논문은 창령사 <석조오백나한상>을 중국 및 일본의 나한상과의 비교를 통해 그 개성을 구체적으로 입증했다. 마지막으로 창령사지의 건물지를 살펴본 결과, 기존에 알려진 나한전(羅漢殿) 터 이전에 제2 건물지가 나한전의 기능을 했을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했다. 창령사 오백나한상의 ‘봉안처’에 관한 필자의 서술은 아직 보완할 점이 많은 시론에 불과하지만, 관련 연구의 진척에 일조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그리고 앞으로 창령사지의 추가 발굴이 진행된다면 그때 좀 더 활발하게 논의가 진행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In the flow of Arhat worship in Korea, Goryeo was the era in which the cult and iconography were both established.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the Goryeo tradition and the newly created new trend coexisted. Due to the importance of this period,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Goryeo–Early Joseon period, even though the extant Arhat sculptures and paintings in Korea date from the late Joseon perio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eriod, this paper examines Arhat worship; the composition, iconography, and expression of Arhat statues; and the enshrinement and arrangement of Arhat statues.
This paper discusses the newly discovered “Sixteen Arhats Painting,” produced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attempts to identify its purpos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enshrined place among the “Five Hundred Arhat Sculptures” of Changryeongsa Temple. The newly discovered Arhat Painting has an important meaning, offering a glimpse of the new trend in iconography that emerged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It is considered highly likely that the statue of the five hundred Arhats of Changryeongsa Temple was originally used as an object of worship during a rain ritual. In addition, the individuality of the five hundred Arhat statues of Changnyeongsa Temple has been demonstrated concretely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Arhat statues of China and Japan. Lastly, an examination of the Changnyeongsa Temple building site suggests that the second building site may have functioned as the Arhat Hall before the previously discovered Arhat Hall site. The argument that the five hundred Arhat statues in Changnyeongsa Temple were “enshrined” is just a theory, with many points still to be confirmed and further explored. If the excavation of the Changryeongsa Temple Site progresses in the future, more focused discussions can be held at that time.
目次I. 머리말 220

II. 나한신앙의 성격 221

III. 나한상의 구성과 조형 224
IV. 나한상의 봉안과 배치 237
V. 맺음말 245
ISSN12261386 (P)
點閱次數28
建檔日期2023.12.10
更新日期2023.12.10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8724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