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당(唐)나라 비석(飛錫) 『념불삼매보왕론(念佛三昧寶王論)』의 주요 내용과 특징=Main contents and features of the Tang Dynasty fēixī 『yembul samādhi bowangron』
作者 정광균 (著)=Jung, Kwang-gyun (au.)
出處題名 불교철학=Journal for the Study Buddhist Philosophy=佛教哲學
卷期v.7 n.0
出版日期2020.10
頁次41 - 78
出版者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Institution for World Buddhist Studies
出版者網址 http://www.duwbs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법상, 중앙승가대학 외래교수


關鍵詞오회; 무상심묘법문; 염불삼매; 법화삼매; 염불삼매보왕론; 飛錫
摘要본 논문은 먼저 『보왕론』의 성립배경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서, 다음에 『보왕론』의 구성내용을 총 3권 20대문 37문답의 형식으로 엮어진 내용을 검토하였다. 끝으로 『염불삼매보왕론』에 논해진 삼매의 특징을 삼세불통념(三世佛通念)이 반주삼매와 법화삼매를 결합한 무삼심묘선문(無上深妙禪門)로 귀결된 삼매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비석의 염불삼매사상은 당시 불교계에서 왕조의 비호하에 종파에 구애받지 않는 다보탑신앙을 근간으로 오회(五悔)의 방편을 의례적 실천으로 체험하고 나아가 역장(譯場)에 참여하여 불교적 이해가 깊어진 지점에서 불공(不空)의 입적을 계기로 독자적 사상을 펼칠 『염불삼매보왕론』을 찬술한다. 그래서 비석은 이러한 의례적 통념의 상징이 야말로 법화삼매라고 말했던 것이고, 염불삼매는 정토에 왕생하는 신앙의 표출이다. 즉, 서문에서 법화삼매와 염불삼매를 병렬된 것에서도 관련되었을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제20 대문에서는 법화삼매란 곧 염불삼매라고 역설하였고, 교리와 수행의 결과 8만4천의 바라밀문으로 모두 염불삼매의 다른 명칭이라고 기술해서 염불삼매에 모든 교리와 수행의 내용을 집약하였다. 『보왕론』에서 언급한 수행의 논리란 당시 불교계에서 일반적인 통념의 법화삼매를 비석의 바탕이 되는 신앙을 정토교의 염불삼매로 해석한 것이다.

This thesis first briefly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Tang Dynasty fēixī(飛錫) 『yembulsamādhibowangron(念佛三昧寶王論)』, and then reviewed the contents of the composition of 『bowangron』 in the form of a total of 3volumes, 20main questions and 37questions.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samādhi discussed in 『bowangron』 were review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samādhi, which resulted in deep meditation, in which the common idea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buddha combined standing in front of the buddha samādhi(般舟三昧) and beophwasamādhi(法華三昧). This fēixī's yembulsamādhi ideology is based on the sectarian dabotap belief in buddhism at that time. We compliment 『yembulsamādhibowangron』, who will unfold their own ideas with Nirvana as an opportunity. So fēixī(飛錫) said that the symbol of this ritual myth was beophwasamādhi, and yembulsamādhi expressed the faith revived in the Pure Land. In other words, in the preface, beophwasamādhi and yembulsamādhi were not only related in parallel, but finally, in the 20th large gate, beophwasamādhi was emphasized as yembulsamādhi. As a result of doctrine and practice, there were 84,000pāramitās, all of which were different names of yembulsamādhi. Described in yembulsamādhi, the contents of all doctrines and practices are summarized. The logic of meditation mentioned in 『Bowangron』 is the interpretation of faith as yembulsamādhi of Orthodox religion, using beophwa samādhi, a common concept in Buddhism at that time, as the basis of fēixī(飛錫).
目次Ⅰ. 들어가는 말 42

Ⅱ. 비석 『염불삼매보왕론』의 주요 내용과 특징 46

Ⅲ. 나가는 말 73
ISSN25863843 (P)
點閱次數23
建檔日期2024.01.07
更新日期2024.01.07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90814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