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근본심과 분별심=Original mind and discriminating mind of Won-Buddhism
作者 정순일 (著)=Jeong, Sun-il (au.)
出處題名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卷期v.51 n.0
出版日期2012.03
頁次101 - 129
出版者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The Research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出版者網址 http://www.wth.or.kr
出版地Iksan-si, Korea [益山市,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원광대 원불교학과 교수(sichung@wku.ac.kr)
關鍵詞마음; 마음 공부=Mind practice; 근본심=Original mind; 분별심=Discriminating mind
摘要원불교를 대내외적으로 대표할 수 있는 특징 중의 하나가 ‘마음공부’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마음공부에 대한 연구를 위해서는 마음에 대한 바른 정의가 필요하다. 마음에 대한 정의를 내리기 위해서는 여러 유형의 개념들과 용처에 따른 정확한 분석이 필요하겠으나, 본 연구에서는 『원불교 교전』과 『정산종사 법어』를 중심으로 마음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용처를 대별하여 마음이라는 말의 범위 내지는 성격을 분류하고 그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원불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마음의 용례들을 살펴서 새롭게 범주 지어 대상화 될 수 없는 ‘근본심(根本心)으로서의 마음’과 대상화가 가능한 ‘분별심(分別心)으로서의 마음’으로 구분해 본다. 근본심과 분별심의 관계는 첫째, 근본심이 불변의 마음이라면 분별심은 생멸 변화하는 마음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주체적인 성격인 근본심에 대비하여 생멸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분별심은 대상 즉 객체적 성격이 있다. 셋째, 근본심은 경계라는 독특한 원불교적 개념으로 형성된 계기를 만나 분별심적인 모습으로 변화한다는 점이다. 일상수행의 요법에서는 그러한 근본심과 대비되는 분별심적 성격에 대하여 잘 다루고 있다고 본다.
마음 닦음을 통해서 근본심을 회복할 수 있다는 사실은 근본심과 분별심의 양자의 관계에 또 하나의 특징을 설정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분별심이 없으면 근본심을 회복할 수 없다는 점이다. 경계를 따라 일어나는 선하고 악하고, 즐겁고, 분노하는 등등의 수많은 분별심이 바로 근본심을 회복하는 유일한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분별심이야말로 근본심으로 들어가는 열쇠가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따라서 깨친 자가 보면 진공과 묘유가 동시에 조화된 양 면을 함께 보고, 깨치지 못한 중생이 보면 혹은 진공, 혹은 묘유의 일면만으로 집착하여 본다. 부처가 보는 것은 분별성이 없이 즉체적(卽體的) 인식이 되고, 중생이 보면 나(我)·법·선후·친소 따위의 분별적 인식이 전개된다. 그렇다면 중생이 닦아서 부처가 된다는 것, 즉 분별심을 닦아서 근본심을 회복하는 것은 본래부터 이원적이며 별개의 세계가 아닌, 본래 부처인 근본 마음이 지닌 하나의 드라마에 불과한 것이다.

Maeum Gongbu(Mind Practice) is one of the most distinctive features that represent Won-Buddhism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hus, it is of necessity to give a clear definition of‘Mind’in order to research Maeum Gongbu(Mind Practice). Indeed, it is required to precisely analyze various types of concepts according to its usage, but in this article, the term‘Mind’ will be primarily confined to the concepts of『The Scriptures of Won- Buddhism』and『The Dharma Words of Master Ch ̆ongsan』. Based upon these two scriptures, I will classify the features of the term‘Mind’and identify its interconnection.
Examining the term‘Mind’used in Won-Buddhism’s scriptures, I will categorize‘Mind’into two types, the original mind which is impossible to objectify and the discriminating mind which is able to objectify. The interconnections of the original mind and the discriminating mind are as follows. Firstly, the original mind is a realm that is unchanging, while the discriminating mind is changing by arising and ceasing. Secondly, the discriminating mind has an objective characteristic contrasting with the subjectivity of the original mind. And thirdly, the original mind can transform into the discriminating mind in response to sensory conditions, that is, the distinctive concept of Won-Buddhism.‘The essential Dharmas of daily
practice’in『The Scriptures of Won-Buddhism』deals well with the features of the discriminating mind contrasting with the original mind.
The fact that we can recover the original mind throughout cultivating the mind makes it possible to set up another characteristic. That is, without the discriminating mind, we cannot get back to the original mind. Because various types of discriminating mind, good or bad, joy or anger and such, arising in response to sensory conditions, are the only means of recovering the original mind. From this point of view, it turns out that the discriminating mind is the key to enter into the realm of the original mind.
Therefore, while the awakened one would be aware of both sides of true voidness and marvelous existence which are harmonized well with each other, ordinary sentient beings that are not awakened would cling to and be aware of only one side of mind, true voidness or marvelous existence. Because what Buddha perceives has no tendency toward discrimination, he sees things in their true proportions. On the other hand, what ordinary sentient beings perceive be a discriminating recognition such as self-ego and dharma, first and last, intimacy and distance, and so on. If so, the relations between the original mind and the discriminating mind, that is, restoring the original mind throughout cultivating the mind, is not a separate, dualistic matter, but a monistic conception which Buddha was originally born with.
目次Ⅰ. 들어가는 말 103

Ⅱ. 마음의 구조 104

Ⅲ. 근본심과 분별심의 관계 115

Ⅳ. 나가는 말 123
ISSN17381975 (P)
點閱次數29
建檔日期2024.04.21
更新日期2024.04.2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97059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