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회 수행을 통한 현대인의 불교적 치유 - 원효의『대승육정참회』를 중심으로=Buddhist Healing of Contemporary People through Penitence Practice - Focused on Wonhyo’s Mahāyāna Six-Emotion Penitence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이 보통의 삶을 살아가고 있을 때, 그들의 삶에서 생겨나는 업장을 제거하고 나아가 그들의 마음을 정화하는 방법으로서, 불교의 신앙과 수행이 삶 일상의 영역에서 자리 잡을 수 있는 종교적 수행 가운데 중요한 것을 참회수행이라고 보고 논구하였다. 종교적 참회수행론을 비교적 그 원리와 방법에 있어서 잘 밝히고 있는 원효의『대승육정참회』라는 저술을 통하여 대승참회와 육정참회의 내용을 알아보았다. 원효의 참회수행론은 당시의 대승참회법의 이론에 바탕하면서도 일반 민중의 참회법을 보다 높은 차원으로 이끌고 있는 면이 있다는 점을 확인해 보았다. 그러나 원효의 참회수행론 뿐 아니라 기존 종교 전통의 참회는 현재의 시점에서 많은 부분 변화가 필요한 부분이 있다. 현재의 시점에서 원효의 참회론을 포함한 불교의 참회수행론을 비판적으로 검토 해보면, 참회수행론의 대승적 의미가 드러나는 면이 있는 반면, 다소 아쉬운 면도 발견된다. 본고에서는 이를 여섯 가지의 관점에서 지적하고 있는데, 지적한 내용에 바탕하여 보다 참신하고 경건한 불교적 참회수행과 의례를 마련하고 이를 사회적으로 보급하고 참회수행을 일반적 문화로 만들어가는 것이 불교가 개인과 사회의 치유를 위해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영역이라고 생각한다.
In this study, as a way of removing obstacles of karma arose from their life and purifying their mind while ordinary people live in mundane life, among religious practices of Buddhist faith and practice able to locate in a domain of ordinary life, the penitence practice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one, and it has been investigated. The religious penitence practice has been researched mainly on Maha-ya-na penitence and six-emotion penitence, by Wonhyo’s Maha-ya-na Six-Emotion Penitence which comparatively well manifests on its principle and method. Wonhyo’s penitence practice theory is based on the theoretic structure of Maha-ya-na penitence of the time though, but also sublimed ordinary folk penitence practice into higher dimension. However, not only his penitence practice theory but also traditional religious penitence practices are required to be changed in many parts from the contemporary view. At present view point, critically examining Buddhist penitence practice theories including Wonhyo’s, they possess Maha-ya-na significance on one hand, but the other hand, contain unsatisfied parts. This study points out them from six angles. It may be an important field that Buddhism could contribute for healing of people and society, by forming a fresh and reverent Buddhist penitence practice and ritual based on pointed out factors, then, distributing it to the society and making penitence practice as general culture.
目次
Ⅰ. 이끄는 말 202 Ⅱ. 불교의 참회론과 문제점 204 Ⅲ. 원효의 참회수행론 208 Ⅳ. 원효 참회수행론의 비판적 검토 222 Ⅴ. 결론 225